본문 바로가기
중동, 아프리카 여행/이집트, 두바이

2018년 12월 이집트, 두바이 여행, 여행 6일, 멤논의 거상 (The Colossi of Memnon)

by G-I Kim 2020. 12. 25.

 

 

멤논의 거상 (The Colossi of Memnon)은 이집트 룩소르 서쪽에 파라오 아멘호텝 3세(Amenhotep III)가 건설한 장제전 유적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두 개의 거대한 석상입니다. 두 개의 거대한 석상은 아멘호텝 3세를 묘사한 것이며 높이가 17미터 이릅니다. 석상은 기원전 27세기에 지진이 있은 후 아침에 종소리 같은 이상한 소리가 나서 이를 본 그리스 여행객들에 의해 <멤논의 거상>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멤논의 거상 주변에는 넓은 경작지가 있습니다. 룩소르는 주 수입원이 관광업이지만 사탕수수 등 농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 전 영토의 대부분이 사막인 이집트의 나일강 주변에는 농경지가 있습니다. 사탕수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는 작물인데 생산지에서 주로 소비되는 작물도 아니기 때문에 수출입이 활발해서 세계에서 가장 상품화된 농산물입니다. 

 

 

 사탕수수는 매우 다양한 토양에서 자랄 수 있습니다. 기름진 땅은 물론이고 척박한 열대 적색 토양, 돌이 많은 화산회 토양에서도 자랍니다. 풍부한 햇빛과 많은 물이 있어야 잘 자라는데 룩소르 나일강변이 재배하기 적합합니다. 

 

 

농작물이 자라는 곳의 흙은 상당히 기름져 보입니다. 사탕수수 이외에도 다른 채소들도 경작되고 있습니다. 

 

 

페르시아에서는 서기 500년쯤부터 사탕수수를 재배했습니다. 페르시아의 무함마드 군대는 사탕수수인 페르시아 갈대를 정복지마다 가지고 갔습니다. 서기 710년에 정복된 이집트에도 군대와 함께 사탕수수가 들어갔습니다. 이후 이집트인들은 사탕수수 재배기술과 정제 등의 설탕 생산 과정을 발전시켰습니다. 

 

 

설탕은 후추와 함께 중세 유럽의 중요한 무역 품목이었습니다. 1453년 오스만튀르크가 현재의 이스탄불인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하고 사탕수수 재배 지역인 이집트와 키프로스가 점령하면서 유럽으로의 설탕 공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후  사탕수수는 신대륙에서 경작돼 유럽으로 수출되기 시작했습니다.

 

 

▼ 멤논의 거상 앞 주차장에 도착했습니다. 이 곳에는 매표소가 없습니다. 다만 입구에 초소 같은 건물이 하나 있고 기념품을 판매하는 좌판들이 있습니다. 

 


두개의 석상은 상당 부분이 파손되어 정확한 외형을 알아보기 힘듭니다. 왼쪽(남쪽)의 석상은  거대한 바위를 조각한 것이고 오른쪽(북쪽)의 석상은  여러 개의 바위를 쌓아가며 조각한 것입니다. 파라오가 옥좌에 앉아 두 손을 무릎 위에 올린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신전은 범람이 잦은 평지에 가까이 세워져 모두 파괴되고 거대한 두 개의 석상만이 남아있습니다. 아마 과거에는 신전 앞에 탑이 있고 그 탑 앞에 두 개의 석상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거대한 사암을 조각하여 만든 남쪽 석상은 아멘호텝 3세와 부인 티위, 딸 중 한명이 조각되어 있으며 석상의 옆면에는 나일신 해피와 상하 이집트의 상징 식물들이 함께 조각되어 있습니다.

 

 

여러 개의 바위를 쌓아가며 조각한 북쪽 석상에는 아멘호텝 3세와 그의 어머니 무템비아가 조각되어 있습니다.

 

 

북쪽 석상의 거대한 모습입니다. 석상은 기원전 27세기 지진이 있은 후 아침에 종소리 같은 이상한 소리가 나서 이를 본 그리스 여행객들에 의해 <멤논의 거상>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멤논은 에티오피아의 왕으로 아프리카에서 소아시아로 그의 군대를 이끌고 전쟁에 참가했으나 아킬레스에게 살해된 트로이 전쟁의 영웅입니다. 

 

 

하나의 바위로 된 남쪽 석상의 모습입니다. 멤논은 <새벽의 통치자>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석상은 서기 199년 로마의 황제 셉티무스 세르베루스에 의해 보수되었으며 그 후 소리는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거상 뒤로 보이는 유적이 잔해들은 아멘호텝 3세의 사원 (Mortuary Temple of Amenhotep III) 입니다. 이 곳의 신전도 상당한 규모이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거의 형태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