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등등/병원의 기억9

용산역사박물관 (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주변의 현재와 과거 (4) ▣ 서울 용산역 주변 개발 지역은 드래곤 스파와 용사의 집이 있는 용산역 전면 1구역, 용산 푸르지오 써밋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들어선 용산역 전면 2구역,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있는 용산역 전면 3구역, 아모레퍼시픽 본사 빌딩이 있는 국제빌딩 1구역, LS용산 타워가 있는 국제빌딩 2구역, 센트레빌 아스테리움이 있는 국제빌딩 3구역, 용산 센트럴파크 헤링턴 스퀘어가 들어선 국제빌딩 4구역, 호반 써밋 플레이스가 들어설 국제빌딩 5구역이 있습니다. 이 지역들은 중앙대학교 용산 병원 근무 시절 많이 이용하고 지나가던 곳이었습니다. ▲ 2011년 6월 용산 아모레퍼시픽 본사 빌딩과 LS용산 타워 앞에서 용산역 쪽을 바라본 사진입니다. 신용산역 3번 출구 근처에 한강대로변에 3~4층 높이의.. 2022. 10. 15.
용산역사박물관 (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주변의 현재와 과거 (3) ▣ 2011년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의 흑석동 이전 후 용산역사박물관 (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주변의 모습은 많이 바뀌었습니다. 병원 후문이 있었던 한강대로 14길에는 병원 내원객들이 이용하던 식당들과 약국이 있었고 한강대로에도 많은 점포들이 있었습니다. 병원 이전 후 후문의 점포들은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한강대로의 풍경도 10여년의 시간이 지나고 용산 지역의 급속한 재개발에 의해 변화가 있었습니다. ▲ 한강대교북단 LG유플러스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북쪽을 바라보면 글로벌 그룹 방탄소년단(BTS) 소속사 하이브의 사옥이 보입니다. 건물 외벽이 전면 유리인데 하늘의 구름이 비쳐 보입니다. 2019년 12월에 완공한 지하 7층, 지상 19층 건물로 하이브는 2021년 3월 이곳으로 사옥을 옮겼습니다. 전체 면적.. 2022. 10. 7.
용산역사박물관 (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주변의 현재와 과거 (2) ▣ 2011년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의 흑석동 이전 후 용산역사박물관 (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주변의 모습은 많이 바뀌었습니다. 용산역사박물관 (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서쪽, 과거 병원 중문이 있었던 곳에는 작은 골목길이 있는데 이 곳에 음식점이 많았습니다. 병원 직원과 내원객, 그리고 주변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들이 많이 찾던 곳이었습니다. ▲ 한강대로에서 서울 한강 초등학교 후문 쪽 골목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한강동이라는 카이센동 전문 음식점이 있습니다. 한강동에는 과거 마사이워킹센터 용산점이 있었습니다. 이 건물에는 유니온 카이로프랙틱 협회 사무실이 있습니다. ▲ 입구에 다른 쪽에는 가벽이 설치되고 운영되지 않고 건물이 있습니다. ▲ 이 곳에는 작은 건물이 있어서 음식점들이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원래.. 2022. 10. 4.
용산역사박물관 (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주변의 현재와 과거 (1) ▣ 2011년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의 흑석동 이전 후 병원 주변의 모습은 많이 바뀌었습니다. 병원 앞 서빙고로 건너편에는 용산 재개발 4구역과 용산국제빌딩 5구역이 있어 재개발이 활발한 곳입니다. 용산 용산국제빌딩 4구역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재개발이 완료되었고 용산국제빌딩 5구역은 지금 공사 중입니다. 또한 용산 병원 이전 후 병원 근처의 상권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 용산역사박물관에서 바라본 용산 용산국제빌딩 4구역의 모습입니다. 2020년 8월에 입주가 시작된 용산 센트럴파크 해링턴 스퀘어(Yongsan Central Park Harrington Square)인 주거건물인 센트럴 파크 아파트와 업무용 빌딩인 센트랄 파크 타워가 보입니다. 모두 5개 동으로 지하 5층에 지상 32~43층.. 2022. 10. 3.
2022년 9월 용산역사박물관에서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을 회상하다. ▣ 1929년에 지어진 (구) 용산병원 옛동 건물을 HDC현산이 붉은색 벽돌 마감재가 쓰인 옛 용산철도병원 특유의 외관과 내부의 역사적 흔적을 살리면서 구조 안전성은 대폭 강화하여 용산역사박물관으로 2022년 3월 23일 개관하였습니다. 용산역사박물관으로 사용 중인 (구) 용산병원 옛동 건물은 1929년에 지하 1층, 지상 2층 철근 콘크리트 혼합구조로 지어진 건물로 2008년 10월 27일 국가등록문화제로 지정된 건물입니다. 중앙대학교는 2011년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임대해 운영하던 용산병원을 임대 기간 만료로 철수하며 흑석동 병원으로 기능을 이전, 통합하였습니다. ▲ 1929년에 용산철도의원의 신본관으로 지어진 (구)용산병원 옛동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 철근 콘크리트 혼합구조로 지어진 건물로 외.. 2022. 10. 1.
2022년 9월 서울 필동 나들이 (2)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필동병원 충무로역 삼거리에 있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는 과거 이었습니다. 2004년 12월 18일 필동 병원이 흑석동으로 이전하고 동국대학교가 274억에 매입하여 현재 학교 건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필동병원은 1968년 6월 10일 한국의과학연구소 부속성심병원 개원했으며 1970년 9월 25일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했습니다. 1971년에는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심병원으로 명칭 변경했습니다. 1977년 6월 10일 연건평 1400평의 신관 건물이 준공되었고 1981년 2월 19일 별관건물이 준공(연건평 1,020평)되었으며 1981년 4월 14일 260병상에서 360병상으로 병상이 증가하였습니다. 1986년 6월 30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성심병원을 중앙대학.. 2022. 9. 24.
중앙대학교 부속 용산병원, (구) 용산 철도 병원 (1907 - 2011)의 역사 ▣ 중앙대학교의료원은 1984년부터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던 용산철도병원을 임대해 으로 운영하였습니다.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일대에 1만885m2(약 3,300평) 규모였으며 400병상을 운영했습니다. 이 병원은 1907년 조선 통감부 철도국 전용의 으로 개원한 병원이었으며, 2011년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임대해 운영하던 용산병원을 임대 기간 만료로 철수하며 흑석동 병원으로 기능을 이전, 통합하였습니다. 2022년 9월 현재 HDC 현산이 주도하는 옛 용산철도병원부지 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1928년 지어진 건물로 국가등록문화재 옛 용산철도병원 본관을 리모델링해 용산역사박물관으로 개관하였으며 나머지 건물은 철거 후 주거상업복합 건물을 지을 예정입니다. ▲ 용산병원의 역사는 1907년부터입니다. 일제.. 2022. 9. 13.
(구) 중앙대학교 필동병원(동국대학교 충무로영상센터) 2011년 6월 중앙대학교 필동병원이 문을 닫고 흑석동의 중앙대학교병원으로 이전한지 이제 6년이 지났습니다. 중앙대학교 필동병원 건물은 동국대학교가 인수하여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 필동병원을 방문한 날은 미국 연수를 가기 직전이었는데 보슬비가 내렸습니다. ▲ (구) 필동병원 본관은 옛날 그 모습 그대로입니다. 원래는 병원 건물이 아니라 호텔 건물이었으며 처음 병원 개설 시 단독 건물이었습니다. 과거에는 (구)본관 옥상에 가건물을 설치하여 의국과 식당으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 (구) 본관 상단의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팻말입니다. 이전에는 중앙대학교 필동병원이라는 팻말이 붙어 있었습니다. ▲ (구) 필동병원 본관의 응급실 자리에는 라는 커피전문점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주차장의 특성을.. 2011. 6. 26.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폐원 2달 간의 변화 ▣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이 2011년 3월 26일 흑석동 병원으로 이전하면서 기존에 병원 처방전을 중심으로 운영해오던 문전약국들이 설자리를 잃어버렸다. 용산병원 처방전을 대상으로 운영해 오던 8곳의 약국 중 5곳이 차례로 폐업을 했다. 다른 점포가 입주한 약국도 있으며 병원 이전으로 근처 상권이 상당히 침체되었다고 한다. 음식점들도 손님들이 줄었다고 한다. 한창 병원을 찾은 환자와 보호자들로 붐벼야 할 낮 동안에도 점포 안에는 인적을 찾기 어려우며, 하교하는 주변 고등학교 학생들 만이 거리를 채우고 있는 모습이다. ▲ 미국 연수를 가기 전에 용산병원을 한번 둘러보았다. 재개발을 위해 병원 건물이 언제 철거될 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마지막으로 보는 것으로 생각하고 이전을 하여 운영을 하지 않는 병원에 가보았다.. 2011.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