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96

흑석동 중대입구도보육교에서 바라본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2023년 9월 26일 (4) ▣  2023년 9월 26일, 건군 75주년을 맞아 서울 도심에서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10년 만에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서울공항에서 시작하여 숭례문과 광화문 일대까지 이어졌으며, 병력 약 4,000명과 장비 170여 대가 동원되었습니다. 흑석동 중대입구 도보육교에서 시가행진을 위해 서울 시내로 이동하는 기갑차량 등 군용 차량을 볼 수 있었습니다.  ▲ K-151C 현궁 대전차 미사일 탑재차량이 지나갑니다. 유도탄과 발사장비는 장착되지 않았습니다.  K151의 무장형 변형 모델인 K153C는 현궁 대전차미사일을 탑재하여 기동성과 화력을 동시에 갖춘 전술차량입니다. 이 차량은 원격사격통제체계(RCWS) 또는 수동 포탑에 현궁 미사일을 장착하여, 적 전차 및 장갑차에 대한 정밀 타격 능력을 제공합니다.. 2025. 4. 13.
흑석동 중대입구도보육교에서 바라본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2023년 9월 26일 (3) ▣  2023년 9월 26일, 건군 75주년을 맞아 서울 도심에서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10년 만에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서울공항에서 시작하여 숭례문과 광화문 일대까지 이어졌으며, 병력 약 4,000명과 장비 170여 대가 동원되었습니다. 흑석동 중대입구 도보육교에서 시가행진을 위해 서울 시내로 이동하는 기갑차량 등 군용 차량을 볼 수 있었습니다.   ▲ K-151 4인승 차량이 우선 지나갑니다. 무인기 운영과 연관된 차량으로 보입니다.  ▲ 사단 정찰용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는 대한민국 한화시스템에서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을 완료한 사단급 부대에서 운용하는 정찰용 무인기 입니다. 사단급 무인정찰기는 일선 육군 전투 사단의 감시정찰 능력 강화를 위해 만들어졌.. 2025. 4. 13.
흑석동 중대입구도보육교에서 바라본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2023년 9월 26일 (2) ▣ 2023년 9월 26일, 건군 75주년을 맞아 서울 도심에서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10년 만에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서울공항에서 시작하여 숭례문과 광화문 일대까지 이어졌으며, 병력 약 4,000명과 장비 170여 대가 동원되었습니다. 흑석동 중대입구 도보육교에서 시가행진을 위해 서울 시내로 이동하는 기갑차량 등 군용 차량을 볼 수 있었습니다.  ▲ 소형전술차량 K-151 현마 뒤로 K-55A1 자주포가 지나갑니다.  K-55A1 자주포는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자주포 중 하나로 M109 A2 자주포를 기반으로 한 면허생산 된 K-55 자주포를 K-9 자주포의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개량을 한 자주포입니다.  성능은 미국의 M109 A6 자주포에 맞먹는 수준으로 K-9 성능의 약 75~80% 정도.. 2025. 4. 13.
흑석동 중대입구도보육교에서 바라본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2023년 9월 26일 (1) ▣ 2023년 9월 26일, 건군 75주년을 맞아 서울 도심에서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10년 만에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서울공항에서 시작하여 숭례문과 광화문 일대까지 이어졌으며, 병력 약 4,000명과 장비 170여 대가 동원되었습니다. 흑석동 중대입구 도보육교에서 시가행진을 위해 서울 시내로 이동하는 기갑차량 등 군용 차량을 볼 수 있었습니다.  ▲ 건군 75주년을 맞아 서울 도심에서 국군의 날 시가행진하는 날..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도심으로 이동하는  군용 차량들을 위해 현충원에서 노량진으로 향하는 현충로가 통행이 차단되었습니다.   ▲ 오후 1시경 흑석동 효사정 근처 흑석동 중대입구 도보육교 아래로 군용차량들이 지나가기 시작합니다. 의전 임무나 국가 행사, 군사 행렬, 행진, 대통령 경.. 2025. 4. 13.
중앙대학교의 야간 설경, 2025년 1월 ▣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에는 중앙대학교 제1캠퍼스가 있습니다. 중앙대학교 캠퍼스는 설립 초기에 비해 많은 건물이 신축되어 이제 녹지가 많지 않지만 중앙 광장을 중심으로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색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중앙대학교의 야간 설경은 겨울철 눈이 내린 후, 캠퍼스 곳곳이 조명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냅니다.   ▲ 함박눈이 내리는 가운데 잔디 광장 앞  중앙대학교 한글 조형물 뒤로 눈에 쌓인 중앙 광장과 영신관이 보입니다.  ▲  중앙광장과 영신관은 중앙대학교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눈이 쌓인 광장과 영신관의 조명이 어우러져 웅장한 느낌을 줍니다. 영신관 앞 중앙 광장에 이라는 작품이 보입니다.  ▲ 야간 조명에 비치는 하얀 눈에 덮인 임영신 여사의 동상입니다. 이 동상은 1959년 1.. 2025. 4. 12.
국립서울현충원의 겨울 모습 (2) 현충원의 실내 봉안시설, 충혼당 ▣ 충혼당은 국립서울현충원 내에 위치한 봉안시설로,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의 유해를 안치하는 곳입니다. 현재 제1충혼당과 제2충혼당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안장 대상자는 순국선열, 애국지사, 군인(현역 및 20년 이상 복무 후 전역자), 무공훈장을 받은 분, 임무 수행 중 순직한 향토예비군 대원 또는 경찰관 등이며, 배우자는 합장이 가능합니다.  ▲ ​국립서울현충원은 평일과 토요일에 참배객을 위한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첫차는 종합민원실에서 오전 9시 10분에 출발하며, 막차는 오후 5시 10분에 출발합니다. 배차 간격은 1시간입니다. 단, 공휴일에는 셔틀버스가 운행되지 않습니다   ▲ 충혼당을 가기 위해 셔틀버스를 타고 충혼당 부근(김영삼 대통령 묘소)에 하차했습니다.  ▲ ​국립서울현충원의.. 2025. 4. 10.
국립서울현충원의 겨울 모습 (1) 겨레 얼마당과 만남의 집 ▣ 국립서울현충원(國立-顯忠院, Seoul National Cemetery)은 국가원수, 애국지사, 순국선열 등 국가의 발전을 위해 명예로운 일들을 한 사람들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병들을 기리는 장소로 서울시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으로 보전 필요성이 높기에 2013년 ‘서울 미래유산’으로 등재된 곳입니다. 국립서울현충원의 겨울 풍경은 고요하고 경건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눈이 소복이 쌓인 묘역과 주변 풍경은 순백의 아름다움을 선사하며, 방문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줍니다.  ▲ 눈이 수북이 내린 2025년 1월의 어느 날,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했습니다.  주말이라서 생각보다 방문 차량이 많이 보입니다.  국립서울현충원 정문은 지하철 4호선과 9호선 동작(현충원) 역 8번 출구에서 약 10m 거리에 .. 2025. 4. 9.
수양벚꽃 마중하는 호젓한 꽃길, 국립서울현충원, 2022년 4월 ▣  4월의 국립서울현충원은 꽃으로 다시 피어납니다. 노란 산수유에 이어 개나리가 현충천 일대를 뒤덮고 4월 중순부터는 벚꽃의 세상이 됩니다.  국립서울현충원은 나라를 위해 꽃잎처럼 스러져간 선열의 뜻을 되새기며, 요란하거나 북적이지 않게 호젓한 벚꽃 산책을 할 수 있습니다. 현충원 정문부터 현충탑까지 이어지는 겨레얼마당 주변으로 나뭇가지를 치렁치렁 늘어뜨린 수양벚꽃을 볼 수 있습니다.  ▲ 많은 사람들과 차량들이 만개한 벚꽃을 보기 위해  현충원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 많은 사람들이 현충원으로 나들이를 나왔습니다.  모두 만개한 나뭇가지를 치렁치렁 늘어뜨린 수양벚꽃을 보며 산책을 하고 있습니다. 현충원은 국립묘지이지만 시민들의 쉼터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 벚꽃이 피는 계절이면 현충원에 데이.. 2025. 4. 8.
봄날의 서울 남산 여행 (4) N서울 타워 전망대, 2014년 5월 ▣ 남산서울타워는 대한민국 또는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탑으로 방송용 송신탑 및 전망탑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계절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간직한 남산 위에 우뚝 솟아 있는 남산서울타워는 그 높이가 해발 480미터에 달해 서울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정식 명칭은 남산서울타워이지만 일반적으로 남산타워로 불리고 있습니다.  2014년 5월 서울 시내 조망을 보러 N서울 타워 전망대에 올라갔습니다.  ▲ 박물관은 살아있다 N서울타워점을 구경을 한 후에 미리 구입한 입장관을 가지고 N서울 타워 전망대에 올라갔습니다.   ▲ 엘리베이터를 타고 N서울타워 전망대에 올라왔습니다. 전망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북적거립니다. 생각보다 서울을 구경하기 위해 온 외국인들이 많이 있습니다. 창문에 전.. 2025. 4. 8.
봄날의 서울 남산 여행 (3) N서울 타워 <트릭아트 박물관은 살아있다> 2014년 5월 ▣ 박물관은 살아있다 N서울타워점은 문화 콘텐츠 그룹 (주)크리에이티브 통에서 선보이는 관객참여 문화놀이공간으로 트릭아트를 볼 수 있었습니다. 박물관은 살아있다는 인사동 본점을 포함해 N서울타워점, 헤이리점 등 국내 8 지점, 해외 8 지점을 두고 있는 체험형 전시 테마파크였는데 현재 국내에는 인사동 본점과 제주 중문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N서울타워점이 운영하지 않고 있습니다. 2014년 5월에 박물관은 살아있다 N서울타워점을 방문했습니다.  ▲ 박물관은 살아있다 N서울타워점은 N서울타워 지하 1층, 서울타워플라자 건물 5층에 있었습니다. 이곳은 N서울타워 전망대 입구가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곳에서  와 N서울타워 전망대 통합 입장권을 구입했습니다.   ▲  박물관은 살아있다 N서울타워점은.. 2025. 4. 6.
봄날의 서울 남산 여행 (2) N서울 타워 전통 무예시범 2014년 5월 ▣ 남산 팔각정 광장에서는 매일 오후 3시에 봉수군들이 우리 국토를 방위하기 위하여 연마하였던 전통무예와 우리 민족의 흥이 담긴 민속공연 등 다양한 전통문화공연(장창ㆍ기창 등 창술시범, 제독검ㆍ본국검ㆍ예도 등 검법시범, 대나무 및 짚단베기 시범, 맨손을 사용하는 권법시범)이 진행됩니다. 2014년 5월 남산 N서울 타워 방문 당시 우연히 남산 팔각정 광장에서 전통무예 시범을 볼 수 있었습니다.  ▲ 남산 팔각정 앞에서 전통무예 공연을 준비하는 모습입니다.  전통무예 시범은 사물놀이에 이어서 진행이 됩니다. 남산봉수대 봉화의식 부대행사로 하는 사물놀이 및 전통무예 시범은 매주 화요일에서 일요일까지 오후 3시에서 40분간 남산팔각정 광장에서 누구나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 행사 이전에 시민, 관광.. 2025. 4. 5.
추억의 중대 먹자골목 (흑석동 먹자 골목) ※ 중대 먹자골목 (흑석동 먹자골목)은 중앙대학교가 있는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었던 곳으로 주로 학생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돼지갈빗집이 있었던 곳입니다. 중대 먹자골목은 1990년대 중반까지 호황을 누렸는데 한창일 때는 골목길에 돼지갈빗집만 20여 개에 달했습니다. 이후 점차 손님이 감소하면서 점포 수가 줄어들더니 2014년 무렵에는 돼지갈빗집은 서너 곳 정도로 줄어들었고, ‘흑석 7 재정비 촉진구역’ 주택 재개발정비 사업이 추진되면서 철거구역에 포함된 중대 먹자골목도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중앙대학교를 다녔거나 흑석동에 살았던 사람들의 추억 속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 2011년 6월 중대 먹자골목 입구의 모습입니다. 입구는 흑석동 성모 교육원 건너편에 있었습니다.  ▲ 2011년 6월 중대 .. 2025. 4. 4.
밀레니엄 서울 힐튼 호텔 폐업 후 2년, 2025년 2월 ▣ 1983년부터 40년 동안 서울 남산에서 상징적인 건물 중에 하나였던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 (Millennium Hilton Seoul Hotel)이 2022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영업을 종료했습니다.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은 1977년 대우그룹의 김우중 회장이 미국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건축학과에 있던 김종성 교수에게 직접 찾아가서 세계적 호텔을 설계해 달라고 부탁하여 만든 호텔입니다. 서울 남산 기슭에 40년 가까이 자리 잡고 있던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은 시내 중심가 특급호텔이면서 산 중턱에 있다는 특성 때문에 외부 시선이 부담스러운 정치인과 기업인의 단골 모임 장소로 많이 이용했습니다. 코비드-19 감염증 등에 의한 수익성 악화로 다시 이지스 자산운용에 팔렸으며 현대건설에 의해 철거.. 2025. 3. 29.
봄날의 남산 서울타워, 2023년 5월 ▣ 남산서울타워는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많은 시민들과 외국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2023년 5월 초 미세먼지도 없는 화창한 봄날에 남산서울타워를 방문했습니다. ▲ 오후 1시경 충무로 대한극장 앞 버스정류장에서 01번 순환버스를 타고 남산서울타워로 이동했습니다. 01번 순환버스는 남산서울타워로 이동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수단입니다. ▲ 버스를 타고 15분 만에 남산서울타워 버스정류장에 도착했습니다. 버스 정류장에서 보니 주말 맞춤버스인 8001번 노선이 신설되어 있었습니다. 주말 남산공원 방문객의 빠른 이동을 위한 단거리 남산 순환노선 버스로 2023년 4월부터 주말에 운행합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행하는데 주말에는 매우 편리할 것 같습니다. ▲ 남.. 2023. 6. 13.
새벽의 서울 남산 타워에서 ▣ 남산서울타워는 대한민국 또는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탑으로 방송용 송신탑 및 전망탑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계절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간직한 남산 위에 우뚝 솟아 있는 남산서울타워는 그 높이가 해발 480미터에 달해 서울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정식 명칭은 남산서울타워이지만 일반적으로 남산타워로 불리고 있습니다. 남산서울타워는 서울의 새해 해돋이 장소로 유명한 곳이기도 합니다. 2023년 2월 초 해돋이를 보기 위해 남산서울타워에 올라갔습니다. ▲ 아침 6시 30분경 지하철 4호선 충무로역 2번출구, 대한극장 앞 버스정류장에서 순환 01번 버스를 타고 남산서울타워로 이동했습니다. 이른 아침 시간에 남산서울타워로 이동하는 대중교통수단은 순환 01번 버스가 유일합니다. 첫 .. 2023. 6. 11.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 - 폐업 후 방문 ▣ 남산 기슭에 자리잡은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Millenium Hilton Seoul Hotel)은 얼마전 40년간의 운영을 마치고 2022년 12월 31일 폐업하였습니다. 건축학적으로도 중요성을 인정받는 건물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존치를 주장하고 있지만 철거하고 2027년까지 오피스, 호텔 등 대규모 복합단지를 지을 계획이라고 합니다. '밀튼'이라는 애칭으로 불렸던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 폐업 후에 방문하였습니다. △ 2023년 1월 초 저녁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을 방문했습니다. 호텔은 이미 폐업해서 저녁에 건물 일부에만 조명이 들어오지만 호텔 카지노 간판은 그대로 붙어 있습니다. △ 호텔 간판은 이제 없어졌지만 호텔 외관은 그대로입니다. 1층 로비에 조명이 들어와 있습니다. 그리고 1층 내부.. 2023. 6. 10.
봄날의 서울 남산 여행 (1) N서울 타워 더 플레이스 다이닝 (The Place Dining), 2014년 5월 ▣ 더 플레이스 다이닝(The Place Dining)은 남산 주변의 풍경과 야경을 보면서 식사를 할 수 있는 이탈리안 레스토랑입니다. 커플전용 좌석에서 피자, 파스타 등을 먹을 수 있습니다. 2014년 늦은 봄날 남산 서울타워를 방문하면서 N서울 타워 2층에 위치한 더 플레이스 다이닝에서 식사를 했습니다. ▲ 지하철 4호선 충무로역 4번 출구 근처 버스정류장에 도착했습니다. 이곳에는 서울순환버스 정류장이 있어 순환버스를 타고 남산 서울 타워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서울 시티 투어 버스 정류장도 이 곳에 있습니다. 서울의 주요 명소를 운행하는 서울 시티 투어버스는 남산 서울 타워도 방문하는 노선이 있습니다. ▲ 2번 순환버스를 타고 남산 서울 타워 정류장으로 이동했습니다. 오후 1시가 넘은 시간에 탑.. 2023. 1. 26.
남대문 교회와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의 정원 ▣ 남대문교회는 한국인 1세대 근대 건축가인 박동진의 설계로 건축된 건물입니다. 1955년 기공해 1969년 11월 완공한 남대문교회는 고딕풍의 석조교회 양식을 잘 보여주며 건축사적인 측면에서 보존가치가 인정돼 2013년에 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디테일한 외관, 이와 대비되는 단순한 내부 평면이 건립 당시의 모습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보존돼 있습니다. 남대문교회 옆으로는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의 정원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비가 오던 2023년 1월의 주말 남대문 교회와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의 정원을 방문했습니다. ▲ 서울 스퀘어 빌딩 북쪽 측면과 메트로 타워 사이에는 비탈길이 있는데 비탈길 끝에는 남대문 교회로 이동할 수 있는 경사로가 있습니다. 이 경사로의 일부는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3.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