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동작구 흑석동

흑석동 중대입구도보육교에서 바라본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2023년 9월 26일 (3)

by G-I Kim 2025. 4. 13.

 

 2023년 9월 26일, 건군 75주년을 맞아 서울 도심에서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10년 만에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서울공항에서 시작하여 숭례문과 광화문 일대까지 이어졌으며, 병력 약 4,000명과 장비 170여 대가 동원되었습니다. 흑석동 중대입구 도보육교에서 시가행진을 위해 서울 시내로 이동하는 기갑차량 등 군용 차량을 볼 수 있었습니다.

 

 

 

▲ K-151 4인승 차량이 우선 지나갑니다. 무인기 운영과 연관된 차량으로 보입니다.

 

 

▲ 사단 정찰용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는 대한민국 한화시스템에서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을 완료한 사단급 부대에서 운용하는 정찰용 무인기 입니다. 사단급 무인정찰기는 일선 육군 전투 사단의 감시정찰 능력 강화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륙과 비행, 착륙에 이르는 과정을 지동화했습니다. 산악 지형이 많은 환경을 고려해 급강하 비행능력을 갖춰 협소한 지역에서도 정확하게 착륙할 수 있습니다. 착륙 후에는 30 미터 이내에서 정지합니다. 두 대 동시 비행이 가능해 24시간 연속 임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10 킬로미터 떨어진 곳의 물체를 정밀하게 확인하고 목표물을 자동 추적합니다. 

 

 

해군이 정보함에서 사용하는 S-100 회전익 무인정찰기는 오스트리아 쉬벨(Schiebel)사에서 만든 기종입니다. 해군은 미국산 쉐도우 고정익 무인정찰기를 도입, 정보함에서 사용했습니다. 사출기로 이륙을 시킨 후 비행한 뒤 그물망을 통해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추락 또는 파손 위험이 적지 않아 실제로 3대 중 2대를 사고로 잃었습니다. 이에 해군은 S-100을 도입했는데 길이 3 미터, 무게 150 킬로그램의 경량이지만 실시간 영상 촬영과 전송이 가능합니다. 

 

 

 

▲  새로운 정찰 드론과 공격용 드론 들입니다.  2023년 9월 드론작전사령부를 창설한 군 당국이 북한의 무인기 위협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에 맞설 드론 전력을 갖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 원거리 정찰용 소형무인기는 지난 2020~2021년 방위사업청의 신속시범획득사업을 통해 육군에 도입됐습니다. 성우엔지니어링이 만든 기종으로 최대속도는 시속 150 킬로미터, 운용시간은 4시간입니다. 고도 2 킬로미터에서 비행이 가능하며, 항속거리는 400 킬로미터입니다. 감시장비로는 4K DLSR 카메라를 사용합니다. 운용반경이 넓어서 다양한 적 핵심표적 감시가 쉽고, 운용고도가 높아 은밀한 작전이 가능합니다.

 

 

 

  스텔스형상소형드론은 대한항공에서 제작한 정찰용 드론으로 기존에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공개했던 가오리-X 무인기를 작게 만든 형태입니다. 스텔스형상소형드론은 비행체와 지상통제장비 및 지원 장비로 구성됩니다. 스텔스 기능을 갖추고 있어 적 레이더에 탐지될 위험을 줄였으며, 이를 통해 은밀하게 적 내륙지역에 침투해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자폭 드론은 기체가 직접 목표물에 부딪히는 무기입니다. 일반적인 공격용 드론이 높은 고도에서 기체에 장착한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기종은 적 레이더 신호를 탐지, 위치를 추적해서 공격하는 기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정찰용 무인잠수정은 북한의 잠수함 탐지 및 추적을 위한 수중 정찰용 무인잠수정 (UUV, Unmanned Underwater Vehicle) 으로, 2030년대에 전력화돼 KSS-III Batch-II (장보고-III Batch-II) 에서 운용할 예정입니다. 

 

 

 

 

"드론으로 北도발 응징"…무인기 과시하는 軍, 실전서 위력 드러낼까 [박수찬의 軍]

미사일과 무인기를 앞세운 북한의 비대칭 위협이 두드러지던 2010년대부터 한국군은 이에 맞설 전력을 확보하는데 골몰해왔다. 그 결과 탄도미사일과 F-35A 스텔스 전투기 등을 확보했지만, 드론

www.segye.com